자본가가 되어보자 3

[경제 기사] 美中日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들

"美中日서 수입하는 핵심물자중 75%가 중국산…中편중 해소해야" | 연합뉴스 (yna.co.kr) "美中日서 수입하는 핵심물자중 75%가 중국산…中편중 해소해야"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 우리나라가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핵심 수입품목 대부분이 중국산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www.yna.co.kr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걸 보여주는 기사라서 가져와봤다. 위 기사를 인용하면 특히 중국의 경우: "관리가 필요한 중국산 핵심 수입품목은 전기제품, 기계 및 컴퓨터, 철강, 유·무기 화합물, 유리, 의료용품, 비철금속 등 산업용 원자재 등이다. 강철 제조 필수 소재인 망간, 전기차 배터리의 음극재에 활용되는 필수 원료인 흑연, 자동차 경량화의 주요 소재인 마그네슘 등이 대표적인 중국산 수입 품목..

[일본 제조업 오버뷰] (퍼온 글)

최근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다가 일본 제조업에 관한 글이 있길래 퍼왔다. 85년 플라자 합의 의후 미국에 견제당하고 잃어버린 일본의 10년... 아니 20년이 넘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때부터 이미 쌓아놓은 각 기업의 포트폴리오가 탄탄해서 아직까지 각 분야를 선도하는 또는 독점하는 기업들이 있길래 나중에 참고하고 공부할 생각으로 글을 퍼왔다. 사실 지금은 나도 잘 모르고 계속 공부를 할 예정.

[경제 도서 리뷰]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 역사 + 7대 이슈로 보는 돈의 역사 2, 홍춘욱

대충 2달 전쯤부터 경제에 관심이 생겨서 도서관에서 세부 분야 불문하고 재미있어보이는 것부터 빌려서 읽고 있는 중인데 (펀드, 주식, ETF 전문부터 거시적 관점을 다룬 책들(이번 리뷰가 그러하다)과 개인적 소회를 밝힌 수필에 가까운 책들까지... 가리지 않고 다 공부중이다.) 홍춘욱 님의 위 "돈의 역사" 시리즈 2권을 아주 재밌게 읽었다. 특히 영국이 왜 세계 패권을 쥐게되었는지와 왜 하필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날 수 있었는 지에 대한 굉장히 그럴듯한( + 합리적으로 들리는) 이유가 경제학계에서 원래 연구되어왔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 점들이 인상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생각해보면 당연한거긴한데, 아무래도 개개인과 가족 -> 가문의 삶이란게 결국 경제적 가치에 의해 90% 이상 결정되는 것이니 이렇게 ..